옛날에는 신경을 쓸 필요가 없는 부분이었는데 요즘에는 한 종류의 프로그램이 32와 64로 나눠지는 경우가 많고 64만 지원을 해주는 도구도 있어서 개인 PC의 비트를 확인해야 할 상황도 빈번하죠? 그래서 내컴퓨터의 제원을 살펴보는 방법에 대해 검색하는 경우가 많은 것일 텐데 제가 비록 PC를 엄청나게 잘 다루는 사람은 아니지만 간단한 조회 방법 정도는 얼마든지 알려드릴 수 있을 것 같아서 이번에 관련 정보를 적어두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보통 PC에서 작업을 하려면 관련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비트를 확인하는 것 정도는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기능으로 충분히 체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윈도우의 도구는 어떻게 띄우는고 하니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Pause Break]을 눌러주기만 하면 됩니다. 해당 단축키로 시스템 화면이 나타나게 되면 시스템 그룹의 종류 항목을 살펴보면 내컴퓨터 비트가 있죠.
혹시 단축키를 쓰는 것이 싫거나 비트 확인 화면 실행 경로가 필요하다면 제어판에서 [시스템 및 보안] 메뉴를 클릭하고 [시스템]을 눌러주면 단축키를 누르는 것과 동일한 항목을 띄우는 것이 가능합니다. 여담으로 32와 64를 확인할 땐 다른 부분들도 함께 체크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혹시 조금 더 자세한 PC의 제원을 살펴보고 싶다면 아래 적어둔 절차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보다 세부적인 항목을 조회하고 싶을 땐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R]을 누르고 실행 화면을 띄웁니다. 그리고 명령어를 적어주는 부분에 [dxdiag]를 적어주는 것으로 DirectX 진단 도구를 켤 수 있으며 상단의 탭을 하나씩 눌러보면서 하단의 내용을 살펴보면 내컴퓨터의 제원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각설하고 PC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해서 혹은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사양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내컴퓨터 비트를 체크하는 방법을 적어봤는데 간단한 팁에 불과한 글이었지만 그래도 보탬이 될 수 있었길 바라며 저는 여기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