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컴퓨터 전문가가 아니라서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형태와 프로그램의 형태가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컴퓨터의 용량 확보를 위해선 윈도우10에 설치된 앱을 살펴보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을 선별하고 지워야 한다는 사실 정도는 알고 있죠. 문제는 어떻게 삭제를 할 수 있느냐는 것인데 혹시 지우고 싶었지만 방법을 몰라서 방치하고 있었던 도구가 있다면 이번에 지우는 절차를 적어두었으니 읽고 적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용자가 PC를 사용하면서 별도로 설치해둔 앱이라면 작업표시줄 왼쪽의 시작 버튼을 누르고 설정을 선택한 뒤 [시스템, 기능 탭]으로 진입하면 제거가 가능합니다. 설치된 각종 도구가 목록으로 나타날 텐데 불필요한 것을 클릭해서 제거 버튼을 눌러주기만 하면 되죠. 다만 해당 과정을 거치면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어서 윈도우10 앱 삭제를 진행하지 못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가 된 종류는 윈도우10과 함께 딸려오는 기본에 해당하며 다른 과정을 거쳐주어야 운영체제에 자동으로 포함되어 있는 앱을 지워줄 수 있습니다. 그럼 그 방법이 무엇인고 하니 일단 시작 버튼을 누르고 모든 프로그램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Windows PowerShell]을 찾아서 관리자 권한을 부여한 뒤 실행을 합니다. 그럼 파란색 화면이 뜨는데 적절한 명령어를 적어주면 윈도우10 앱 삭제가 될 것입니다.
왜 사용자의 동의가 없는 상태로 포함되어 있는 도구들이 있고 일반적인 방법을 통해 삭제를 할 수 없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기본으로 들어있는 종류들도 정확한 방법만 알아두고 있으면 언제든지 작업을 해주면서 삭제를 할 수 있다는 것이 다행이 아닌가 합니다.
각설하고 운영체제에 포함되어 있는 도구를 지워주는 방법을 적어봤는데 간단한 팁에 불과한 글이었지만 그래도 여기까지 들러주신 분들께서 헛걸음을 하시는 일이 없도록 윈도우10 앱 삭제를 하는 것에 보탬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다른 기능을 다루는 절차에 대해 연재해볼 것을 약속하며 저는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