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운영체제는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낯설게 느껴질 수 있고 처음 사용할 땐 쉬운 작업도 관련 정보를 검색해야 할 경우가 빈번한데 win10을 쓰는 분들께서 어떤 이유로 제어판을 열어봐야 한다면 간단한 방법만 알아두는 것으로 언제든지 설정 화면을 띄울 수 있습니다. 물론 절차가 쉽다고 해도 내용을 알아야 적용이 가능한며 이번에 제가 주소 활용하는 절차를 적어두었으니 혹시 찾고 있었던 정보라면 아래쪽의 글을 읽어봐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주로 작업 표시줄 왼쪽에 있는 시작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드롭 메뉴에서 제어판을 선택하는 편입니다. 아니면 비슷한 방법으로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X]를 누르고 바탕화면 좌측 하단에 드롭 메뉴에서 win10 제어판을 눌러주는 방법도 있죠. 서두에서 언급을 했었지만 실행 과정이 엄청나게 간단하죠?
추가적으로 다른 방법도 소개를 하자면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R]을 누른 후 명령어로 [control]을 적어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니면 바탕화면에 바로 가기 아이콘이 보이도록 설정을 바꿔주는 방법도 있는데 바로 가기를 선호하시는 분들도 있으실 수 있으니 아이콘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쪽에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바탕화면에 win10 제어판을 넣어주고 싶다면 배경의 공백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개인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세팅 화면에서 좌측의 테마 탭을 선택하고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 항목을 클릭합니다. 마지막으로 배경에 놔두고 싶은 아이콘의 종류를 체크한 뒤 확인을 눌러주면 모든 작업은 완료가 됩니다.
간단하게 win10 제어판 실행 방법 네 가지를 소개해봤는데 외에도 다른 방법이 있지만 어차피 한 가지 방법만 확실히 알아두면 필요한 작업을 하는데 무리가 없으니 언급한 내용 중에서 기호에 맞는 것 하나를 기억해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저는 이쯤에서 물러나겠습니다. 다음에는 다른 주제가 되겠지만 보다 알차게 준비해둔 글을 연재할 테니 언제든지 또 들러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