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로 여러 파일을 취급하다 보면 포맷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을 바꿔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땐 간단한 방법을 통해 확장자가 파일의 이름 옆에 나열돼서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절차가 아무리 쉽다고 해도 내용은 알아야 적용할 수 있으니 이번에 포맷을 보이게 해주는 것과 관련된 내용을 엮어봤습니다. 혹시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했다면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포맷을 보이게 해주는 절차는 엄청 간단합니다. 그냥 내 컴퓨터, 제어판, 모양 및 개인 설정, 폴더 옵션을 순서대로 진입하고 보기 탭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포맷 숨기기 항목을 체크 해제한 상태로 확인을 눌러주면 확장자 보이게 하는 방법은 완료가 됩니다. 혹시 작업하는 절차를 진행할 때 눌러야 할 버튼을 모르겠다면 아래 이미지를 살펴..
가끔 호환성을 고려해서 도면 작업을 해둔 자료를 다른 포맷으로 변경해주어야 할 경우가 있는데 pdf 변환을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간단한 방법을 통해 포맷을 바꿀 수 있습니다. 물론 아무리 절차가 쉽다고 해도 내용을 알아야 변환이 가능한데 혹시 캐드로 만든 자료를 바꾸고 싶었다면 아래 설명을 위한 글을 엮었으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캐드의 자체적인 기능으로 바꿀 수도 있지만 그냥 전용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것이 간단합니다. 그리고 전용 소프트웨어는 'sobolsoft.com/convertdwgpdf'에서 받을 수가 있죠. 방문을 하면 바로 다운로드 버튼이 보이며 클릭을 해서 자료를 받으면 캐드 pdf 변환을 위한 기본 준비는 완료가 됩니다. 설치는 보통의 프로그램과 동일하니 딱히 어려운 부분이 없고 변환..
컴퓨터로 다양한 자료들을 취급하다 보면 처음 보는 확장자와 마주치면서 자료를 열람할 수 없는 경우가 왕왕 있는데 낯선 포맷 중에 하나가 바로 gul이죠? 해당 파일의 경우 훈민정음에 해당하며 전용 뷰어가 있어야 열어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어디서 다운을 하고 어떻게 설치를 하느냐는 것인데 이번에 뷰어에 대한 내용을 엮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가장 깔끔한 다운을 하는 방법은 'jungum.com/ReNew/Kr/Download/etcdownload.html'을 찾아가는 것입니다. 해당 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바로 Global 뷰어가 있으며 해당 그룹의 다운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의 방법으로 훈민정음 뷰어 다운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
텍스트가 들어가는 디자인 작업을 해야 하거나 문서 작업을 할 땐 가독성을 위해 폰트를 신경 써주어야 하는데 콘셉트에 따라 다르겠지만 필기체 폰트가 필요한 순간도 있죠? 이럴 땐 당연한 얘기겠지만 다운을 해서 적절한 경로에 설치를 해주면 멋진 폰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절차는 알아야 하는데 이번에 영어 글꼴에 대한 내용을 엮었으니 필기체가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인터넷의 모든 자료가 그렇듯 폰트도 주인이 있습니다. 그래서 아무 종류나 받으면 안 되고 사용이 허락된 종류를 선별하고 받아야 하는데 'software.naver.com' 혹은 '1001fonts.com'에서 마음에 드는 것을 찾은 후 다운을 하면 안심하고 사용해도 되는 영어 필기체 폰트를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받은 영어..
가끔 플레이어가 없어서 cd의 내용을 컴퓨터로 옮겨야 할 순간이 있는데 이럴 땐 의외로 간단한 절차만 알아두면 작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물론 cd파일 복사를 하는 것이 쉽다고 해도 내용을 알아야 행동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오디오의 복사에 대한 내용을 엮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분명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가 있을 것입니다! 컴퓨터로 자료를 전송할 땐 관련 기능을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을 쓸 수도 있겠지만 운영 체제의 자체적인 기능도 있으니 굳이 cd파일을 옮기기 위해 별도로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윈도우 미디어를 쓰면 cd의 내용을 옮길 수 있죠. 고로 cd파일 복사를 위해서 가장 먼저 해주어야 할 것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cd..
몇몇 자격증의 경우 취득을 하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소멸하기 때문에 정보를 살펴보고 적절한 시기에 갱신을 해주어야 하는데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itq도 그중에 하나로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결론부터 얘기를 하자면 해당 자격증 유효기간은 폐지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한때는 분명 갱신이 필요한 종류였지만 지금은 유효기간이 없기 때문에 갱신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유효기간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얘기를 하자면 2013년 10월 1일에 개정이 되었으며 그전에는 5년이라는 유효기간이 있어서 해당 유효기간이 지날 때까지 보수교육을 수료하지 않으면 취득이 취소가 되었지만 지금은 itq 자격증 유효기간을 전혀 신경을 써줄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혹시 취득해둔 itq에 대해서 조회를 해보고 싶은 분들이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