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로 여러 파일을 취급하다 보면 포맷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을 바꿔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땐 간단한 방법을 통해 확장자가 파일의 이름 옆에 나열돼서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절차가 아무리 쉽다고 해도 내용은 알아야 적용할 수 있으니 이번에 포맷을 보이게 해주는 것과 관련된 내용을 엮어봤습니다. 혹시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했다면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포맷을 보이게 해주는 절차는 엄청 간단합니다. 그냥 내 컴퓨터, 제어판, 모양 및 개인 설정, 폴더 옵션을 순서대로 진입하고 보기 탭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포맷 숨기기 항목을 체크 해제한 상태로 확인을 눌러주면 확장자 보이게 하는 방법은 완료가 됩니다. 혹시 작업하는 절차를 진행할 때 눌러야 할 버튼을 모르겠다면 아래 이미지를 살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담으로 지금까지의 내용은 제가 사용하고 있는 8.1 버전의 운영 체제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다른 버전을 쓰는 분들이라 해도 큰 맥락은 비슷하니 아마 작업을 하시는 것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포맷이 보이게 설정을 하는 이유는 대부분이 변경을 목적으로 하는 것일 텐데 단순히 파일 이름을 바꾸는 것으로 포맷도 변환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혹시 보이게 하기 위한 이유가 포맷 변환이라면 파일 이름에 포맷을 보이게 해주는 설정보단 전용 컨버터 프로그램을 찾아볼 것을 권장합니다.
물론 일부러 호환되지 않도록 포맷 이름을 바꾸려는 분들이라면 굳이 컨버터를 활용하면서 호환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각설하고 파일의 확장자가 이름과 함께 보이게 해주는 절차에 대해서 엮었는데 이번에 정리한 방법이 들러주신 분들이 필요로 하던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였으면 좋겠으며 이번 글은 이쯤에서 갈무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