짤막하게 기록해두어야 할 내용이 많은 분들이라면 메모장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데 노트북으로 작업하는 시간이 길 땐 종이의 형태로 된 메모장을 선택하는 것보단 프로그램이 좋을 수 있습니다. 다만 사용하기 적당한 프로그램을 알아두어야 하며 아래 툴 소개를 위한 글을 엮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요즘에는 운영체제에서 메모장을 지원하기 때문에 별도로 소프트웨어를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즉, 툴의 실행을 해주면 바로 사용이 가능한데 윈도우7은 시작 버튼, 모든 툴, 보조 툴에서 스티커를 찾을 수 있으며 8 이상은 스티커를 검색하고 클릭하면 됩니다. 혹시 노트북 메모장 프로그램 소개와 관련해서 실행 경로가 어렵다면 하단에 이미지를 올릴 테니 살펴보시면 될 듯합니다. 그리고 툴을 켜면 바탕화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맷이 아니라면 호환성을 고려해서 유형을 바꿔주는 것이 좋은데 예컨대 flac은 무손실 음원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to mp3 작업을 해주면 보다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죠? 문제는 mp3로 바꾸기 위한 순서를 알아야 한다는 것인데 이번에 변환에 참고할 수 있는 글을 적었으니 살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복잡한 방법으로 mp3를 만들 수도 있겠지만 간단히 다룰 수 있는 툴이 있으니 flac을 바꾸기 위해 굳이 복잡한 절차를 선택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럼 다루기 만만한 툴이 어떤 것인고 하니 'goo.gl/47wmxv'를 찾아가면 다운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고로 flac to mp3의 핵심은 적어둔 주소에서 제공하는 툴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방문하면 다운로드 버튼이 있으며 압축을..
예전에는 32와 64를 구분할 필요가 없었는데 요즘에는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사항 자체가 구분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연스레 비트확인이 필요한 순간도 많아지게 되었죠? 그래서 컴퓨터의 성능 체크 절차를 찾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비트확인을 위한 정보를 검색하고 있었다면 아래 절차를 엮었으니 살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가장 간단한 절차는 키보드의 '윈도우 키 + Pause Break'을 누르고 시스템 화면을 띄우는 것입니다. 그러면 화면의 중간쯤에 있는 시스템 그룹의 우측에서 비트확인을 할 수 있죠. 혹시 단축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제어판,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을 순서대로 진입하면 앞서 언급한 컴퓨터 비트확인 절차 정보와 동일한 창을 모니터에 띄울 수 있습니다. 혹시 살펴봐야 할 부분을 ..
스마트 기기로 녹음을 하고 그 내용을 컴퓨터로 옮겨보면 이번 글의 주제와 일치하는 포맷을 확인할 수 있는데 호환성을 생각한다면 아무래도 파일 변환을 해주는 것이 좋겠죠? 그래서 amr을 바꾸기 위한 방법을 찾아보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혹시 변환을 하고 싶었지만 작업 순서를 몰라서 방황하고 있었다면 이번에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했으니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보통 오디오와 비디오의 변환은 인코딩 프로그램을 쓰면 되는데 amr의 경우 전용 툴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그 전용 툴은 'goo.gl/70mRAf'에서 받을 수 있죠.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해서 주소를 적어야 하며 방문한 뒤 하단을 살펴보면 다운로드 버튼이 바로 보일 것입니다. 고로 amr 파일 변환의 핵심은 언급한 페이지의 ..
평소 일정이 변경되는 경우가 많은 분들이라면 일정을 따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이 좋은데 컴퓨터를 자주 쓴다면 스케쥴러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겠죠? 그래서 관련 프로그램을 구하려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혹시 적당한 툴의 다운로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서 설치를 미루고 있었다면 아래 다운로드에 대한 내용을 엮었으니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이어르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단순한 일정 정리가 목적이라면 가독성이 높은 달력 툴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바탕화면에 달력을 준비해두고 필요한 내용을 수시로 기록하는 것이죠. 그럼 해당 툴은 어떻게 다운로드를 하는고 하니 'desktopcal.com'을 찾아가면 됩니다. 고로 스케쥴러 프로그램 다운로드 설치의 핵심은 적어둔 페이..
PC를 조금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쾌적한 이용 환경을 구축하고 싶다면 바탕화면 위젯을 써보는 것이 좋은데 메모를 하고 싶을 땐 메모 전용 위젯을 컴퓨터에 준비하면 되고 시계를 자주 본다면 시계를 준비하면 되지만 각각의 툴을 설치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한 번에 다룰 수 있는 정보가 있어야 하며 아래 참고할 수 있는 글을 엮었으니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러 위젯으로 깔끔하고 뛰어난 기능의 배경을 구성하고 싶을 때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쓰면 오히려 컴퓨터가 느려지고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레인미터를 통해 위젯을 준비할 것을 권장합니다. 추가적으로 로켓독이나 오브젝트독을 함께 준비한다면 더욱 완벽한 컴퓨터 바탕화면 위젯 구성이 가능하죠. 다만 해당 툴은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