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 글씨체 저장을 통해 피피티 파일에 폰트를 포함하는 방법 ppt 자료를 만들 땐 기본 폰트를 활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죠? 반대로 얘기를 하자면 전반적인 콘셉트에 맞는 글씨체를 구해서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폰트를 따로 구해서 작업을 했다면 조심해야 할 부분이 하나 있습니다. 다른 컴퓨터에선 피피티 글씨체가 깨질 수 있다는 것이죠. 폰트가 깨지는 이유는 직접 구해둔 글씨체가 다른 컴퓨터에는 없기 때문이며 글씨가 모두 무너지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려면 ppt 글씨체 포함 저장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다른 PC에서 글씨가 호환되지 않는 상황은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폰트도 포함을 하는고 하니 아래 글을 적어두었습니다! 피피티 글씨체 저장을 원할 때 pp..
한글의 위첨자를 적용하는 단축키와 아래첨자를 입력하는 방법 문서 자료를 편집해야 할 때 당연하다는 듯이 선택하게 되는 사무용 프로그램이 한글인데 아무리 일반적인 도구라 해도 다루는 방법을 모른다면 활용이 불가능하죠? 그래서 각종 기능 활용 정보를 찾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한글 위첨자 단축키를 쓰고 싶다면 간단한 내용만 알아두면 됩니다. 깔끔하게 핵심부터 얘기를 하자면 위첨자를 문서에 포함하고 싶을 땐 [Alt + Shift + P]를 누르거나 수식 편집기를 활용하면 됩니다. 다만 단순히 단축키만 알아두면 활용에 조금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아래쪽에 적었으니 읽고 적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한글 아래첨자 단축키와 위첨자를 문서에 포함하는 절차 앞서 언급을 했지만 위첨자..
워드의 글자간격이나 문단간격 줄이기 및 늘리기 문서는 군더더기가 없고 필요한 내용을 얼마나 정확하게 기록했느냐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겠지만 못지않게 중요한 부분이 바로 가독성이죠? 그래서 글자들이 입력된 모양을 따로 수정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겠죠. 문제는 어떻게 워드 글자간격을 조절하느냐는 것인데 의외로 간단한 방법만 알아두면 됩니다. 제가 비록 워드를 엄청 능숙하게 다루는 사람은 아니지만 글자와 글자 사이 혹은 문단과 문잔 사이의 간격을 줄이거나 늘리는 과정은 얼마든지 안내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아래 워드 글간격에 대한 정보들을 엮었으니 혹시 필요로 하던 내용이었다면 읽고 적용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워드 문단간격과 글자의 간격 줄이기 과정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문서를 실행하고 글자 간격을 바..
이번엔 ppt에서 쪽번호를 표시하는 파워포인트의 페이지 설정 기능 소개입니다.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만들 때 꼭 설정을 해주어야 할 부분은 아니지만 슬라이드의 진행 정도를 알려주면서 보다 깔끔한 자료를 만들고 싶을 땐 페이지마다 적절한 번호를 표시해주는 것이 좋죠? 물론 쪽번호를 넣어주고 싶다면 ppt 쪽번호와 관련된 기능의 종류와 다루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보탬이 되려 파워포인트 페이지설정을 해주는 것과 연관된 글을 적어보려 하는데 제가 PPT 자료를 엄청나게 잘 만드는 사람은 아니지만 페이지에 번호를 표시하는 것 정도는 얼마든지 알려드릴 수 있을 것 같아서 아래 정보를 엮었으니 필요할 때 읽고 적용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ppt 슬라이드 번호를 표시하도록 도와주는 파워포인트의 쪽번..
패스트핑을 1.3 버전으로 다운을 하고 무설치로 패핑을 쓰는 방법 하나의 작업 대상에 PC의 모든 성능이 할애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자연스레 체감 속도도 높여주는 것이 패핑인데 사실 패스트핑과 패스타핑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입니다. 그리고 패스트는 1.3이 없죠. 고로 정확하게 얘기하자면 패스트핑 1.3 무설치가 아니라 패핑 1.3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편의상 이번 글에서는 패스트핑 무설치라 얘기를 하겠습니다. 어쨌든 실행 파일을 구하고 싶다면 방법을 알아둬야 하는데 아래 직접 공유와 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는 최신 버전에 관한 정보를 함께 엮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패핑 1.3의 실행과 패스트핑 1.3보다 좋은 무설치 파일 예전에 출시된 것으로 패스트핑 다운을 하고 싶다면 상..
혼자서 사상 체질 테스트가 가능한 진단법을 알려드려요! 개인의 체질에 맞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람을 특정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 사상체질이라 하는데 꼭 질병이 있을 경우에만 확인해야 할 부분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한의학적 기준으로 체질에 따라 식습관의 궁합도 달라지기 때문이죠. 고로 사상 체질 진단법을 알고 있다면 개인의 체질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궁합이 좋은 습관이나 음식을 챙기며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것이죠. 다만 정확한 사상체질 테스트를 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관련 정보를 적어봤는데 참고하시면 건강을 지키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상 체질의 진단법은 테스트가 중요해요! 워낙 흔하고 익숙한 이론이라 외형을 기준으로 체질을 분류하는 것 정도는 알고 계실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