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핑을 1.3 버전으로 다운을 하고 무설치로 패핑을 쓰는 방법
하나의 작업 대상에 PC의 모든 성능이 할애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자연스레 체감 속도도 높여주는 것이 패핑인데 사실 패스트핑과 패스타핑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입니다. 그리고 패스트는 1.3이 없죠. 고로 정확하게 얘기하자면 패스트핑 1.3 무설치가 아니라 패핑 1.3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편의상 이번 글에서는 패스트핑 무설치라 얘기를 하겠습니다. 어쨌든 실행 파일을 구하고 싶다면 방법을 알아둬야 하는데 아래 직접 공유와 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는 최신 버전에 관한 정보를 함께 엮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패핑 1.3의 실행과 패스트핑 1.3보다 좋은 무설치 파일
예전에 출시된 것으로 패스트핑 다운을 하고 싶다면 상단에 올려둔 파일을 클릭하고 받으시면 됩니다. 제가 사전에 검증을 해두었으며 안전한 파일이니 안심하고 받으시면 됩니다.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버전이니 파일을 받은 다음에는 실행해서 사용을 하시면 됩니다. 워낙 구조가 간단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설명을 하지 않아도 괜찮겠죠?
다만 패스트핑 1.3 무설치를 선택하는 것이 나쁘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그나마 최근에 출시된 리버스를 선택하면 1.3과 같은 모드로 구동을 할 수 있고 성능이 뛰어난 리버스의 기능만 쓸 수도 있습니다. 즉, 리버스를 준비하면 1.3과 최신 버전을 동시에 준비하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리버스로 선택할 것을 권장합니다.
혹시 리버스를 무설치로 쓰는데 관심이 있다면 제작자가 운영하는 페이지인 [fastaping.tistory.com/79]에서 실행 파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트에 따라 파일이 구분되어 있는데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을 하시면 됩니다.
앞서 리버스를 선택하면 1.3을 쓰는 것과 동일한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얘기를 했었는데 혹시 패핑1.3버전으로 구동하고 싶다면 프로그램에 있는 이전 방식을 체크해서 [ON]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기타 사용 방법은 좌측에 있는 물음표를 눌러서 확인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각설하고 패핑 다운을 할 때 알아둬야 할 부분과 패스트핑 1.3 무설치 파일을 공유하는 글을 적어봤는데 간단한 팁에 불과했지만 보탬이 되었길 바라며 저는 물러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