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의 번호변경 및 휴대폰의 연락처를 텔레콤 홈페이지에서 하는 법 요즘에는 다양한 업무들을 인터넷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기관에서 기능을 지원해주고 있는데, 통신사도 예전에는 센터를 직접 방문을 해야 했었던 일들을 지금은 인터넷으로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형이 sk 번호변경을 하는 것이죠. 다만 인터넷으로 할 수 있어서 발걸음을 옮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은 줄었지만, 그래도 sk휴대폰 번호변경을 하는 과정 정도는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티월드 홈페이지를 통해 sk텔레콤 번호변경을 해주는 절차들을 엮어보려 하는데, 혹시 필요한 정보였다면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홈페이지를 찾아가야 합니다. 주소는 [tworld.co.kr]이며, 포털에서 티월드를 검색한 뒤 찾아가셔도 무방합..
윈도우10에서 위젯으로 바탕화면에 달력과 메모를 구성하는 법 자주 사용하는 도구들을 배경에 꺼내두면 실행하는 과정이 줄어들게 되고, 자연스레 작업 효율도 좋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배경에 가젯을 구성하려는 분들이 꾸준하게 이어지는 것일 텐데, 문제는 최신 버전의 경우 윈도우10 위젯을 찾아볼 수가 없다는 것이죠? 7 버전에서는 배경의 공백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가젯을 불러오는 메뉴가 바로 보였는데, 윈도우10 바탕화면 달력은 아무리 찾아봐도 보이지 않습니다. 고로 전용 툴을 준비해야 윈도우10 바탕화면 위젯을 구성할 수 있으며,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종류와 구하는 방법은 아래 엮어두었습니다. 윈도우10 위젯 바탕화면 달력 메모 PC에서 윈도우10 메모 위젯을 쓰고 싶다면 스티머 메모를 활용..
포토샵으로 그림따기와 선의 자르기 및 복사 이미지를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도록 엄청나게 많은 기능들을 지원하는 도구인데, 아무리 기능이 다양하다고 해도 활용 방법을 모르면 무용지물이죠? 그래서 지금도 사용법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포토샵 그림따기를 원할 땐 간단한 내용만 알아두면 됩니다. 제가 비록 포토샵을 엄청 능숙하게 다루는 사람은 아니지만, 이미지에서 원하는 부분을 대상으로 포토샵 선따기를 하고 포토샵 그림 복사를 해주는 과정은 알려드릴 수 있을 것 같아서 글을 적었으니, 혹시 필요한 내용이었다면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포토샵 그림따기 선 자르기 복사 우선 툴을 켜고 [Ctrl + O]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탐색기가 열리면 편집하고 싶은 그림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자료를 화면에..
윈도우의 10에서 듀얼모니터의 설정과 다중디스플레이의 연결 예전에는 전문적인 작업을 할 경우에만 여러 개의 모니터를 사용했는데, 요즘에는 굳이 전문적인 작업이 아니더라도 여러 개를 쓰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지금도 세팅 정보를 찾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윈도우 10 듀얼모니터 설정은 간단합니다. 다만 간단한 작업도 과정을 모르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래 윈도우10 다중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적었으니, 혹시 듀얼모니터 연결을 하고 싶었다면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1. 작업표시줄 왼쪽에 있는 시작 버튼을 누르고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아니면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I]를 눌러도 됩니다. 2. 톱니바퀴 아이콘 혹은 단축키를 눌러서 Windows 설정 화면이 나왔다면, 왼쪽 ..
엑셀의 자동저장과 백업파일의 폴더 위치 문서를 만들다가 PC에 문제가 생겨서 모든 데이터가 손실되는 상황이 없으려면, 사전에 문서 프로그램의 설정을 조절해두고, 수시로 데이터가 보관되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방법을 알아둬야 하며, 보탬이 되려 엑셀 자동저장을 주제로 글을 써보려 합니다. 사실 엑셀 백업파일은 별도로 세팅을 바꾸지 않더라도 생성이 됩니다. 다만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백업이 되는 시간을 조절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며, 이 부분은 간단하니 생략하고 다음 내용을 이어가겠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한 상태에서는 좌측 상단에 있는 파일 탭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메뉴들이 드롭되면, 옵션이라 적힌 부분을 찾아서 클릭합니다. 사용하는 버전에 따라 그래..
폴더의 암호화와 파일에 비밀번호의 걸기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보호해야 할 자료들이 있다면, 자료의 주인이 패스워드를 걸어두면 됩니다. 운영체제 자체 기능을 쓸 수도 있지만, 전용 도구를 쓰는 것이 쉽고 안전하죠. 다만 툴을 다룰 줄 알아야 폴더 암호화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파일 비밀번호를 걸 때 사용할 수 있는 툴의 종류와 기능 활용 과정을 적어보려 하는데, 모든 프로그램을 한 번에 소개할 수는 없으니, 많은 분들이 폴더 암호걸기를 할 때 선택하고 있는 Wise를 중점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툴의 설치 파일은 [wisecleaner.com/wise-folder-hider-free.html]에서 배포를 하고 있습니다. 주소가 조금 복잡하지만 공식 루트이니 안심하고 방문하셔도 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