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사용하는 도구라면 빠르게 켤 수 있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은데 평소 컴퓨터를 하면서 계산기를 수시로 쓰는 분들이라면 빠른 실행 버튼을 알아두거나 익숙한 형태로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물론 이런 내용들은 정확한 윈도우 계산기 단축키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파악할 수 있는데 제가 PC 전문가는 아니지만 간단한 내용은 알려드릴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이번에 참고하실 수 있는 내용들을 적어두었으니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일단 자체적인 기능으로 가장 빠르게 켜는 방법은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R]을 누르고 명령어를 적어주는 부분에 [calc]를 입력한 후 엔터를 눌러주는 것입니다. 모든 버전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키보드에서 눌러주어야 할 버튼이 많기 때문에 완벽히 빠른 버튼이라 할 수는 없지만 ..
모니터에 띄워진 내용을 동영상의 형태로 기록하고 싶다면 관련 기능을 지원하는 도구를 구해서 사용을 해주어야 하는데 요즘엔 녹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 많지만 제한 없이 기능들을 활용하고 싶을 땐 제목에 있는 툴이 좋죠? 그래서 pc화면을 기록하려는 분들께서 찾는 경우가 많은 것일 텐데 이번에 설치 파일을 구하는 방법과 쓰는 절차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해두었으니 혹시 동영상 제작을 하고 싶었지만 도구가 없어서 작업을 미루고 있었다면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오캠의 설치 파일을 구하는 방법부터 얘기하자면 그냥 공식 홈페이지인 [ohsoft.net/kor/ocam/download.php?cate=1002]를 찾아가면 됩니다. 그리고 마우스 휠을 굴리며 하단으로 이동하면 총 세 종류의 자료실이 준비되..
저는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브라우저를 쓰면서 딱히 심각한 오류가 찾아온 경우가 없었고 상당히 완벽에 가까운 브라우저라 생각을 했었는데 의외로 크롬에서 페이지 로딩이 안되는 상황을 겪는 분들이 많더군요. 그래서 앗 메시지가 떴을 때 해당 메시지를 없애는 방법을 검색하는 경우가 꾸준하게 이어지는 것일 텐데 직접 겪어본 증상은 아니지만 이런 오류를 개선하는데 보탬이 될 정보를 알려드릴 수는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관련 내용들을 하단에 적어두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구글에서 안내하는 내용을 살펴보면 이런 메시지가 나타날 경우엔 메모리 부족이나 프로그램 충돌을 의심해야 하며 페이지의 새로고침을 하거나 다른 탭을 닫거나 기기의 재부팅 및 재시작을 통해 증상을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한 번만 사용하면 되는 상황이거나 컴퓨터를 가급적 깨끗하게 쓰고 싶다면 프로그램을 깔아주는 것은 아무래도 꺼져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땐 무설치를 선택하면 되죠. 물론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꿀뷰를 구하는 방법은 알아두어야 하는데 이번에 안전성이 확실하게 확보된 자료를 컴퓨터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적어두었으니 혹시 필요로 하던 내용이였다면 아래의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포터블 방식의 파일은 공식 루트에서 배포를 하지 않지만 해당 프로그램은 고맙게도 공식 루트에서 받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가장 깔끔하고 확실하게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방법은 공식 홈페이지를 찾아가는 것이며 주소는 [bandisoft.co.kr..
새로운 운영체제는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낯설게 느껴질 수 있고 처음 사용할 땐 쉬운 작업도 관련 정보를 검색해야 할 경우가 빈번한데 win10을 쓰는 분들께서 어떤 이유로 제어판을 열어봐야 한다면 간단한 방법만 알아두는 것으로 언제든지 설정 화면을 띄울 수 있습니다. 물론 절차가 쉽다고 해도 내용을 알아야 적용이 가능한며 이번에 제가 주소 활용하는 절차를 적어두었으니 혹시 찾고 있었던 정보라면 아래쪽의 글을 읽어봐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주로 작업 표시줄 왼쪽에 있는 시작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드롭 메뉴에서 제어판을 선택하는 편입니다. 아니면 비슷한 방법으로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X]를 누르고 바탕화면 좌측 하단에 드롭 메뉴에서 win10 제어판을 눌러주는 방법도 있죠. 서두에서 언..
옛날에는 신경을 쓸 필요가 없는 부분이었는데 요즘에는 한 종류의 프로그램이 32와 64로 나눠지는 경우가 많고 64만 지원을 해주는 도구도 있어서 개인 PC의 비트를 확인해야 할 상황도 빈번하죠? 그래서 내컴퓨터의 제원을 살펴보는 방법에 대해 검색하는 경우가 많은 것일 텐데 제가 비록 PC를 엄청나게 잘 다루는 사람은 아니지만 간단한 조회 방법 정도는 얼마든지 알려드릴 수 있을 것 같아서 이번에 관련 정보를 적어두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보통 PC에서 작업을 하려면 관련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비트를 확인하는 것 정도는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기능으로 충분히 체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윈도우의 도구는 어떻게 띄우는고 하니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