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 defender 설정해보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되는 악성 툴을 막아주고 스파이웨어로부터 운영체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 window에 자체적으로 포함된 defender라는 툴인데 별도로 백신을 준비해둔 상태라면 충돌이 있을 수 있어서 기능의 해제를 해주어야 하고 반대로 상황에 따라 켜주어야 할 순간도 있습니다. 문제는 도구의 기능을 어떻게 활성화와 비활성화로 바꾸느냐는 것인데 이번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적었으니 읽어보시면 무난히 도구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을 것입니다!



일단은 제어판으로 진입합니다. 제어판을 켜는 방법은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8 이상이라면 작업표시줄 왼쪽의 시작 버튼을 마우스 오른쪽으로 눌러주면 제어판이 있고 7은 시작 버튼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하면 제어판이 있습니다. 그리고 제어판 창이 켜지면 우측 상단에서 보기 기준을 작은 아이콘으로 변경해줍니다.



그럼 다양한 메뉴들이 나열되는데 하나씩 살펴보면서 디펜더를 찾고 클릭을 해줍니다. 이어서 세팅 화면이 나타나면 상단의 도구 메뉴를 클릭합니다. 간혹 window defender 도구 메뉴를 클릭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땐 [지금 업데이트 확인] 버튼을 눌러서 과정을 진행한 뒤 다시 window defender 도구를 클릭하면 정상적으로 눌러지게 될 것입니다.



도구 메뉴로 진입을 했다면 이번엔 옵션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좌측의 관리자 탭에서 [이 프로그램 사용] 항목의 체크를 필요에 따라 바꾸고 저장을 해주면 됩니다. 텍스트로 정리해서 defender의 세팅을 바꾸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사실 클릭의 연속이니 막상 시도하면 어려운 부분은 전혀 없을 것입니다.



여담으로 window defender의 기능을 끄려는 분들이 많은데 사실 컴퓨터에 특별한 문제가 있지 않다면 굳이 해제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window defender를 활성화로 해두는 것이 컴퓨터의 보안 유지에 도움이 되죠. 그러니 정말 해제할 필요가 있는지 고민해보고 세팅을 바꿀 것을 권장하며 이번 글은 이쯤에서 끝을 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