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위첨자를 적용하는 단축키와 아래첨자를 입력하는 방법
문서 자료를 편집해야 할 때 당연하다는 듯이 선택하게 되는 사무용 프로그램이 한글인데 아무리 일반적인 도구라 해도 다루는 방법을 모른다면 활용이 불가능하죠? 그래서 각종 기능 활용 정보를 찾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한글 위첨자 단축키를 쓰고 싶다면 간단한 내용만 알아두면 됩니다.
깔끔하게 핵심부터 얘기를 하자면 위첨자를 문서에 포함하고 싶을 땐 [Alt + Shift + P]를 누르거나 수식 편집기를 활용하면 됩니다. 다만 단순히 단축키만 알아두면 활용에 조금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아래쪽에 적었으니 읽고 적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한글 아래첨자 단축키와 위첨자를 문서에 포함하는 절차
앞서 언급을 했지만 위첨자는 [Alt + Shift + P]를 누르면 됩니다. 자세히 얘기를 하자면 한글에서 위첨자로 만들고 싶은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선택한 다음 단축키를 누르면 선택된 부분이 위에 첨자로 추가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같은 단축 버튼을 한 번 더 눌러주면 첨자에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될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이라 얘기했지만 사실 별것 없죠?
추가적으로 한글 아래첨자 단축키에 대한 정보도 얘기를 해보자면 [Alt + Shift + S]를 눌러주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텍스트를 선택한 다음 세 가지 키를 눌러주어야 정상적으로 반영이 됩니다.
앞에서 언급을 했었지만 단축키가 아니라 수식 편집기를 써서 첨자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모양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기왕이면 편집기로 한글 위첨자를 문서에 추가하는 방법도 알아두는 것이 좋죠. 그럼 편집기는 어떻게 활용하는고 하니 일단 키보드에서 [Ctrl + N + M]을 누르거나 입력 탭의 수식 하위 메뉴에 있는 편집기를 눌러줍니다.
편집기가 켜지면 이번에는 좌측 상단에 있는 위첨자 혹은 아래첨자 아이콘을 눌러줍니다. 그럼 중간에 빨간색 사각형으로 입력 항목이 나오며 원하는 텍스트를 채운 다음 [Shift + Esc]를 누르면 문서에 반영이 될 것입니다.
수식기를 쓴다고 해서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미묘한 차이 때문에 알아두는 것이 좋을 듯하여 잠깐 소개를 해봤습니다. 지금까지 한글 위첨자 단축키와 아래첨자 단축키를 쓰는 방법을 얘기해봤는데 간단한 정보에 불과했지만 원하는 문서를 작성하는데 보탬이 될 수 있었길 바라며 저는 여기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