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최대절전모드 - 끄기와 켜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일반적으로 1시간에서 12시간 정도를 사용하지 않는 PC에서 사용하게 되는 기능이라 하는데 해당 기능의 장점을 굳이 꼽으라면 윈도우10 최대절전모드를 풀어주는 것이 부팅하는 것보다 조금 빠르고 PC를 다시 사용할 때 전원 버튼을 누르려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죠? 그런데 실행 중이던 프로그램을 그대로 유지할 때 디스크 공간을 엄청나게 차지한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고로 장점이 단점을 커버할 정도의 기능은 아니기 때문에 효율적인 디스크 관리를 원한다면 윈도우10 최대절전모드를 꺼주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는 어떻게 기능 끄기를 할 수 있느냐는 것인데 기본적으로는 제어판 기능을 활용하면 되지만 제어판으로 작업할 땐 실패하는 경우도 왕왕 있어서 명령 프롬프트로 작업하는 절차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시작 버튼 > 모든 앱 > Windows 시스템]을 순서대로 진입합니다. 그럼 하위 메뉴에 명령 프롬프트 아이콘이 있을 텐데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자세히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해야 윈도우10 최대절전모드를 없앨 준비가 완료됩니다.



관리자 권한을 부여한 상태에서 프롬프트를 켰다면 [powercfg -h off]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주면 됩니다. 그럼 최대절전모드가 비활성화 상태가 되는 동시에 디스크의 저장 공간도 조금은 확보가 될 것입니다. 간단하죠? 핵심은 관리자 권한을 부여한 프롬프트의 실행을 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눈치가 빠른 분들이라면 아셨겠지만 어떤 이유로 기능 켜기를 해주어야 한다면 같은 순서를 통해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되 [powercfg -h on]을 적고 엔터를 눌러주면 됩니다. 여담으로 명령어를 적을 땐 직접 입력해도 되고 제가 적은 내용을 [Ctrl + C]로 복사한 뒤 검은 배경에서 [Ctrl + V]를 누르거나 마우스 우클릭을 해주면 됩니다.



각설하고 운영체제의 기능을 끄거나 켜기를 하고 싶을 때 알아두면 좋은 내용을 엮었는데 윈도우10 최대절전모드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참고할 수 있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다른 기능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볼 것을 약속하며 저는 이쯤에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