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는 사용을 하다 보면 전혀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오류의 종류가 너무 많아서 전부 예방을 할 수는 없겠지만 그나마 다행인 것은 대부분의 오류는 윈도우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지 않기 때문에 몇 가지 작업을 해주면 무난히 해결하고 컴퓨터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하지만 가끔은 윈도우가 제대로 구동이 안될 정도로 손상을 주는 문제도 찾아오는데 이런 상황을 대비해서 사전에 윈도우 백업을 해둔다면 그 순간을 무난히 넘기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윈도우를 쓰는 분들이라면 모든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과정이 필수라 해도 과언이 아닌데 이번에 구체적인 방법을 엮었으니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윈도우의 버전에 따라 윈도구 백업 방법이 다른데 추세에 맞춰서 8 이상의 윈도우를 쓰는 분들께서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우선은 작업표시줄의 좌측에 있는 윈도우 아이콘에 마우스 커서를 올립니다. 그리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윈도우의 기능과 관련된 몇 가지 항목이 나오는데 여기서 윈도우 제어판을 클릭합니다.
이어서 제어판이 윈도우에 띄워지면 '시스템 및 보안'에서 '파일 히스토리'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본격적인 윈도우 백업을 할 수 있는데 처음 쓰는 분들이라면 해당 기능이 꺼져있을 것입니다. 그럼 기능을 켜주면 됩니다. 그리고 남은 과정은 쉬워서 따로 설명할 것이 없을 정도인데 그래도 간략히 얘기하자면 윈도우를 백업한 파일을 어디에 저장할 것인지와 어떤 드라이브를 기억할 것인지만 선택한 뒤 확인을 눌러주면 됩니다.
여담으로 7 이하의 윈도우를 쓰는 분들이라면 윈도우의 자체 기능이 아니라 원키 고스트라는 프로그램으로 보다 간단한 작업을 통해 윈도우 백업을 할 수 있습니다. 기왕이면 이 프로그램도 공유하고 싶지만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자제를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윈도우 백업과 관련된 얘기를 해봤는데 텍스트로만 전하기에는 확실히 한계가 있군요. 갑자기 쓰느라 준비를 못 해서 죄송합니다. 다음에는 동영상으로 윈도우의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다시 정리하겠습니다.